반응형

case1) 같은 네트워크간 통신 A<---->B

한번이상 통신 했을 경우 1~3 번       최초 통신일 경우 1~7 번

1. A 에서 IP Address 와 MAC Address 정보를 담아 스위치 한테 B의 IP를 알려줘서 찾게함

2. 요청받은 스위치는 해당 IP정보의 컴퓨터를 스위치 내의 MAC Address Table에 존재하나 확인

(* 스위치가 하는일중 하나는 IP<-->MAC 변환) 

(*Switching Table : 주소들을 메모리에 저장해 두는 곳)

3. IP와 MAC주소를 연결해 스위치 장비의 메모리에서 참조해 즉시 연결

4. 최초 접속시 Switching Table에 정보가 없을 것

5.  스위치는 A컴퓨터의 Port를 제외한 나머지 Port에 접속되 있는 컴퓨터에 B의 IP 주소를 첨부해 해당 IP주소를 사용하는 컴퓨터에게 응답요청을 시도함 (*이러한 과정을 Broadcast라함)

6. Broadcast를 받은 A를 제외한 나머지 컴퓨터중 해당하는 컴퓨터가 아니면 이 메시지를 폐기하고 해당하는 컴퓨터일 경우 MAC Address를 담아 스위치에게 응답함

7. 이렇게 MAC Address를 받은 스위치는 Switching Table에 저장해 A와 B를 연결

(*Broadcast해서 IP주소와 MAC주소를 얻는 과정을 학습(Learning)이라고함), 스위치 재부팅시 Switch Table 정보 초기화 되므로 학습을 다시 해야함

case2 ) 다른 네트워크간 통신 A<-->F

1. A의 IP주소와 MAC주소를 스위치에게 전해주고 F의 IP주소를 알려줘서 찾아달라고 요청

2. 요청을 받은 스위치는 위의 CASE1 의 학습과정을 거친 뒤 같은 네트워크상에 없다는것을 인식후 외부 연결을 위해 Gateway 장비에게 F의 IP주소를 알려주고 찾기를 요청

(*Gateway 장비의 역할을 Router라고함)

3. 스위치로부터 요청을 받은 라우터는 자신의 Routing Table을 참조해 해당 IP를 가진 Router를 찾음.

4. 만약 해당 IP를 가진 라우터가 없을 경우 가장 근접한 라우터를 찾아서 부탁함

(*라우터들 끼리 IP를 찾는것을 공유하는 것을 Routing Protocol 이라고 함)

 5. 이 과정을 통해 A Nerwork의 Gateway Router가 B Network의 Gateway Router를 찾게됨

{*위 과정을 Routing (길찾기) 라고함}

6. B Network의 라우터가 A가 요청한 F의 IP주소를 받고 F의 주소를 스위치에 전송, 학습을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

(*A Network Gateway와 B Network Gateway가 연결되기 까지 수많은 라우터를 경유해 길을 찾는과정을 HOP이라 하고 HOP을 많이 거칠수록 속도가 늦어짐)


 

/etc/sysconfig/network   -네트워크 저장되있는 디렉토리

/etc/sysconfig/network-scripts/ 
ifcfg-eth0   -   첫번째 랜카드, ip 변경할때 이파일 바꾸면 됨

/etc/resolv.conf
dns 정보 들어가있음

ip변경하고싶을때 리눅스에서 neat 치고 들어가서 변경
자동으로 아이피 받고싶으면 cd설정으로 네트워크 nat로 바꾸고 automatically 어쩌구 클릭
/etc/init.d/network restart 로 네트워크 재시작하면 아이피 자동으로 받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