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9

Process, 압축

Daemon :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Process : 실행시켜 동작되는 프로그램 ps : 프로세스 모든 명단 보기 -e : 현 시스템에서 동작하고 있는 모든 프로세스 목록 -f : PID, TTY, TIME, COM외 UID, PPID , SMITO 등 표ㅣ kill : 프로세스 죽이기 (pid)이용 kill (-1) 재시작 kill (-9) 강제종료 pkill : 파일명으로도 죽이기 가능 jobs : 현재 실행중인 job 표시 bg %n : job id 가 'n'인 작업을 background 작업으로 변경 fg %n : job id 가 'n' 인 작업을 foreground 작업으로 변경 stop %n : job id 가 'n' 인 background 작업 중지 ctrl + z : foregrou..

리눅스 명령어

절대경로 상대경로 /a/b/c/d/e 경로이동 ex) c->a로 이동할때 절대경로 cd /a 상대경로 cd ./../.. c->b로 이동할때 절대경로 cd /a/b 상대경로 cd ./.. c->d로 이동할때 절대경로 cd /a/b/c/d 상대경로 cd ./. cd d 메타캐릭터 :원래 의미가 아닌 다른 특별한 의미 ~ : home 디렉토리 * : 모든 것 (글자수 제한이 없음) ? : 모든 것 (한 글자만) [ ] : [ ] 사이의 모든 글자 > : 지정 된 위치에 저장 (덮어쓰기) ex) etc디렉토리 안의 conf로 끝나는 확장자명을 가진 파일을 list.txt에 저장 ls /etc/*.conf > list.txt list.txt 파일 안에 덮어쓰기 ls /etc/*.conf >> list.txt l..

RHEL5 설치

파티션 나누기 - Create Custom Layout 으로 파티션 설정 / ------- 5000 /boot ---- 100 /var ----- 1000 swap ----- RAM두배 /home ---- 5000 /app ---- 나머지 ip설정에서 ipv6 체크해제 ipv4만 사용 Manual configuration으로 ip설정 custom now 응용프로그램 선택 system tools -> optional packages -> sysstat-7.0.2-3선택 Kdump(kernel dump) : os사용중 문제가 생기면 harddisk에 저장 해상도 변경 -System ->Administration -> Display -> Hardware -> Monitor Type -> lcd 1024x768

RHEL3 설치

Guest operating system에서 Linux선택 Version에서 Red Hat Enterprise Linux 3 선택 Location 경로지정 원하는곳에 맞춰서 NEXT Memory 1024MB로 설정 bridge networking 설정으로 ip주소 수동설정 LSI Logic(Recommended) 선택 New virtual disk 선택 SCSI 선택 single file 선택 Manually partition선택으로 파티션 나누기 New버튼 눌러서 파티션 설정 파티션 / ----- 5000 /boot --- 100 /var ---- 1000 swap ---- RAM 두배 ->swap은 File System Type에서 /home ---- 나머지 전부 -> 나머지 값 정하는것은 Fill ..

리눅스

리눅스 -> RedHat -> 공짜 : 7,8,9, 페도라->테스트 -> 상용 : RHEL 3,4, 5, 6 ​ 2.4.xx 2.6.xx ​ 2.4.xx -> CentOS : RHEL의 Clone : 공짜 2.6.xx -> ORACLE : OEL : 공짜 ​ SUSE​ : Client (윈도우처럼) 우분투 : 테스트 (개발용) ​ 서버 -> System Engineer -> Oracle Engineer SWAP메모리 = 가상 메모리 swap메모리 = 물리메모리의 1.5 ~ 2배 작업을 수행할 때 실제 메모리의 양이 부족해서 디스크일부를 os에 메모리로 인식시켜 사용하는 것​ ​ ​ ​ Power Basic ​On - > Input Self Output T​est System =>ROM vs RAM cmo..